"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decoding=async title="
김해시의 행정 구역은 1읍, 6면, 12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김해시의 인구는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54만2455 명, 21만7228 가구로 경남 전체의 16.1%에 해당하며, 면적은 463.3 km²로 경남의 4.4%에 해당한다. 인구가 50만 명을 초과하였으므로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구를 설치하지 않고 있다. 1991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토지공사가 58만평 규모의 김해내외지구 신도시를 개발하였고, 1998년부터 '장유신도시'가 개발되었다.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옛 가락국의 도읍으로서 가야의 유적, 문화재가 많이 남아있다.
김해시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지역 문화 행사이다. 수 많은 부대 및 연계행사를 동반하여 거행되고 있다. 1962년부터 매년 3~4월 중에 개최되고 있다. 대성동 일대를 주 개최지로 한다. (가야문화축제 홈페이지)
김해시 생림면 도요리에 위치한 도요창작스튜디오, 도요강변 문화공원에서 2012년 8월 18일~8월 19일 처음 개최되었다. 도요창작스튜디오가 주관하였다.
2008년부터 특정 날짜를 정하고 않고 수시로 개최된다. 김해국제음악제 조직위원회, 인제대학교가 주관한다. (김해국제음악제 홈페이지)
김해시에서 주최하고 주관처가 매년 바뀌었던 김해분청도자기축제는 1996년부터 매년 10월 김해분청도자관에서 개최되었다. (김해분청도자기축제 홈페이지)
2007년부터 매년 10월 내외동, 대성동 일원에서 개최되었다. 2009년에는 개최되지 않았다.
대형할인점 및 아울렛은 김해시내에 3개(홈플러스 김해점, 동김해점(폐점), 메가마트 김해점, 롯데마트 김해점) 장유동에 3개(롯데마트 장유점,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김해점, 농협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가 있다. 이 외에 시내에 많은 기업형 슈퍼마켓이 자리잡고 있다. 한편, 현 김해시외버스터미널 자리에 신세계에서 시공한 민자 터미널이 완공되어 2015년2월개관하여 이용중에 있으며, 이 곳에 신세계백화점 등 쇼핑몰이 2016년 6월에 입점하였다. 또한 부원역사개발지구에는 아이스퀘어몰이 입점하였다.이마트도 입점됨
김해시에는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온 많은 시장들이 있다. 특히 부원역 2번 출구에 맞닿은 새벽시장은 옛 김해버스터미널의 위치가 이설되면서 그 부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시장으로서 유명하며, 지도상에 공식적으로 명확히 표기되지도 않은 장터이다. 새벽시장이라는 이름은 새벽녘에 가장 활발한 시장으로서 자리매김하여 관습적으로 불리는 명칭이다.이 시장은 최근 주상복합건물 공사가 시작됨에따라 부원시가지안쪽으로 이전하였다. 최근에는 대도시로 진입하는 김해시의 정책 덕분에 몇몇 시장들은 리모델링 및 내부 수리를 거치는 등 이전보다 더 환경이 현대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아래는 김해시의 전통시장의 목록(가나다 순)이다.
김해에는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경유한다.
김해에는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58호선이 경유한다. 기존의 구간(삼계동~전하교~김해시청~김해교)를 잇던 국도 제14호선의 일부는 자동차전용도로인 김해시내를 우회하는 도로(동서대로, 진영~주촌~식만교차로)로 이설되었다.
김해에는 지방도 제1020호선, 지방도 제1042호선이 경유하며, 국가지원지방도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이 경유한다.
김해에는 금관대로, 김해대로, 동서대로, 생림대로, 진산대로 총 5개 대로가 있다. 김해대로는 국도 제14호선, 금관대로는 장유IC 이전은 지방도 제1020호선, 이후는 국도 제58호선, 생림대로는 국도 제58호선, 진산대로는 국도 제25호선의 시계내구간의 명칭이다.
김해시의 시내버스는 가야IBS, 동부교통, 김해버스가 운영하고 있다. 주로 가야IBS는 시내노선을, 동부교통은 읍면노선을, 김해버스는 공영노선을 중심으로 운행하고 있다. 노선은 32개의 일반노선, 좌석노선(73, 58, 59, 97, 98, 97-1, 98-1 ,220번),이 있다.
김해시에는 시외버스를 주요 버스로 운행하고 있으며 김해시내나 장유, 진영 구간에서도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경전선이 진영읍, 한림면, 생림면을 경유하며 진례역, 진영역, 한림정역이 있다. 특히, 한림정역은 벌크시멘트 수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이다. 또 진영역에서 2010년 12월 15일부터 KTX가 평일 왕복 4회, 주말 왕복 6회씩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진영역에서도 KTX를 이용할 수 있다. 같은 날, 경전선과 부산신항선이 분기하는 진례역 또한 신설되어 일부 무궁화호 열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김해경전철은 2009년 12월에 시운전을 개시해 2011년 4월 말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시운전 중의 탈선 사고 발생과 소음 문제, 김해시의회의 관련 조례 처리 보류 등으로 여러 차례 개통이 연기되다가 2011년 9월 16일에 정식 개통했다. 건설 당시에는 가야대역을 삼계중학교와 푸르지오 아파트 근처에 지어 주민들의 반발이 있었으며, 김해대학역과 인제대역은 이들 역에서 해당 학교들이 꽤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역명이 일부 변경되었다.
유치원(공립 45개교, 사립 41개교), 초등학교(공립 58개교), 중학교(공립 27개교, 사립 4개교), 고등학교(공립 18개교, 사립 2개교), 학력인증학교(사립 경남애니메이션고등학교), 특수학교(특수 1개교), 소속기관(도서관, 체육관) 총 198개교가 존재하며 유치원의 공립과 사립의 비례는 비슷하다.
유치원 | ||
---|---|---|
|
중학교 | ||
---|---|---|
|
고등학교 | ||
---|---|---|
|
학력인정학교 | |
---|---|
|
특수학교 | |
---|---|
|
도서관 | |
---|---|
|
체육관 | |
---|---|
|
대학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