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통령 목록
![]() |
대한민국의 정치 |
![]() |
대한민국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대한민국 행정부 수반이며 대한민국 국군의 통수권자이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3명의 인물이 총 20대 임기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제9차 개헌 이후의 현행 헌법에 따라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중임할 수 없지만, 제9차 개헌 이전의 여러 헌법에서는 대통령의 임기가 고정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대통령직을 수행한 개인과 대통령 임기의 대수가 불일치하게 되었다.
1979년 12월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1980년 8월 직위를 사임한 최규하가 255일의 임기를 지내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짧은 대통령 임기를 가졌으며, 박정희는 5·16 군사정변 이후 1963년부터 1979년까지 총 5,793일, 15년이 넘는 가장 긴 대통령 임기를 지냈다. 이에 더불어 윤보선의 사임 이후 박정희는 633일 동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내 가장 긴 기간 동안 권한대행 체제를 유지했으며, 백낙준은 1960년 8월 8일부터 8월 12일까지 단 5일 간의 가장 짧은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기간을 유지했다.
이승만, 윤보선, 최규하는 대통령 임기 도중 사임했고, 박정희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중 유일하게 임기 도중 암살당했다. 박근혜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관한 여러 논란으로 탄핵되었다. 이전에도 노무현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사례는 있었지만 당시에는 헌법재판소에 의해 기각되었다. 1960년 4월 허정 외무부장관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이승만의 사임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되며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는 최초의 선례를 세웠다.
2022년 5월 10일 취임한 윤석열은 비상계엄으로 비롯한 탄핵소추로 12월 14일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었고,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 수행을 시작했다. 이후 12월 27일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 국회에서 가결됨에 따라 한덕수의 직무도 정지되었고, 이로 인해 권한대행 2순위인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이 권한대행을 이어받아 수행하였다. 2025년 3월 24일 국무총리 탄핵소추가 기각되면서 한덕수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복귀했고, 이후 4월 4일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하면서 윤석열이 파면되어 한덕수 권한대행은 차기 대통령 선거를 6월 3일로 예정했다. 5월 1일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국회 본의회에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상정하자 사임했고, 이어서 한덕수 국무총리 또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이유로 사임하면서 5월 2일 교육부 장관 이주호가 권한대행을 이어받아 수행 중이다.
대통령 목록
같이 보기
각주
내용주
참조주
참고 문헌
대통령기록관 약력
- “이승만”.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윤보선”.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박정희”.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최규하”.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전두환”.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노태우”.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김영삼”.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김대중”.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노무현”.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이명박”.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박근혜”.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문재인”.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공식 자료
- “역대선거 실시상황”.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사임서 송부에 관한 건(대통령 이승만)”. 대통령기록관. 1960년 2월 1일.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윤보선 취임식”. 대통령기록관.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헌법 / 헌법 제10호”. 국가법령정보센터. 1987년 10월 29일.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대통령(노무현) 탄핵”. 국가법령정보센터. 2004년 5월 14일.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2004092] 대통령(박근혜)탄핵소추안(노회찬의원ㆍ우상호의원ㆍ박지원의원 등 171인)”. 의안정보시스템. 2016년 12월 3일.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대통령(박근혜) ��핵”. 국가법령정보센터. 2017년 3월 10일.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 프로필”. 대한민국 대통령실.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2206448] 대통령(윤석열) 탄핵소추안(박찬대의원ㆍ황운하의원ㆍ천하람의원ㆍ윤종오의원ㆍ용혜인의원ㆍ한창민의원 등 190인)”. 의안정보시스템. 2024년 12월 14일.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2206961] 국무총리(한덕수) 탄핵소추안(박성준의원 등 170인)”. 의안정보시스템. 2024년 12월 27일. 2024년 12월 27일에 확인함.
뉴스 자료
- 김일주 (2010년 4월 26일). “[편집자에게] '건국 대통령'을 다시 역사 속으로”. 조선일보.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총리실, '국민에게 죄송.흔들림 없이 국정수행'”. KBS 뉴스. 2004년 3월 12일.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서명곤 (2012년 2월 13일). “새누리, 당명ㆍ정강정책 확정..`박근혜당' 완성”. 연합뉴스.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김태종; 양영석 (2017년 3월 10일). “헌재, 박근혜 대통령 파면…재판관 전원일치, 헌정 첫 사례(4보)”. 연합뉴스.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 송수진 (2017년 5월 10일). “19대 대선 개표 종료…문재인 41.1% 득표로 당선 확정”. KBS 뉴스.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 “윤석열/후보자정보/대선2022”. 중앙일보. 2024년 9월 5일에 확인함.
- “한덕수 탄핵 기각‥"재판관 미임명은 위헌, 파면할 잘못은 아냐"”. MBC. 2025년 3월 24일. 2025년 3월 25일에 확인함.
- 노선웅; 김기웅 (2025년 4월 4일). “헌재, 만장일치로 尹파면 …"국민 신임 배반, 헌법수호 책무 저버려"(종합)”. news1. 2025년 4월 4일에 확인함.
- 홍국기 (2025년 5월 2일). “韓대행 이어 최상목 사퇴…초유의 사회부총리 이주호 대행 체제(종합)”. 연합뉴스. 2025년 5월 3일에 확인함.
그 외 자료
- 허정(許政) (1979). 《내일을 위한 증언(내일을 위한 證言)》. 샘터사. 218쪽.
- 김상웅 (1994). 《한권으로 보는 해방후 정치사 100장면》. 가람기획. 29쪽.
- 김용욱 (2004). 《한국정치론: 조선 왕조에서 대한민국까지 체제 변동 과정》. 오름. 454쪽.
- 윤정란. 〈박충훈 (朴忠勳)〉.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 탁양현 (2020년 1월 31일). 《박근혜 문재인 기득권 국제정치》. e퍼플. ISBN 979-11-6347-934-5.
- 김상철 (2013년 3월 11일). “탄핵, 그 야만의 기록”. 노무현사료관.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대한민국 대통령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대한민국 대통령기록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