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
합동참모의장(영어: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合同參謀議長)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국군의 4성 장성(대장)으로 보한다(군 창설 당시에는 군의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3성 장성(중장)이 역임하였음). 현재 대한민국 국군 의전 서열 1위에 해당된다.
임명
역할
- (국군조직법 제9조제2항) 합동참모의장은 군령에 관하여 국방부장관을 보좌하며,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각군의 작전부대를 작전지휘·감독하고, 합동작전 수행을 위하여 설치된 합동부대를 지휘·감독한다. 다만, 평시 독립전투여단급 이상의 부대이동 등 주요 군사사항은 국방부장관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 (국군조직법 제13조제2항) 합동참모회의는 합동참모의장과 각군 참모총장으로 구성하며, 합동참모의장이 그 의장이 된다.
역대 의장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 1. 존 T. 마샬(John T. Marshall), 1946년 1월 15일 ~ 1946년 2월 5일, 미 육군 중령
- 2. 러셀 D. 베로스(Russell D. Barros), 1946년 2월 5일 ~ 1946년 8월 15일, 미 육군 대령
- 사령관 대리. 이형근(李亨根), 1946년 9월 28일 ~ 1946년 12월, 국방경비대 참령(現 소령)
- 3. 송호성(宋虎聲) 1946년 12월 ~ 1948년 8월 15일, 국방경비대 중령
- 4. 송호성(宋虎聲) 1948년 8월 15일 ~ 1948년 11월 20일, 제5여단장으로 전출
- 5. 이응준(李應俊) 1948년 11월 20일 ~ 1948년 12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