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decoding=async title="" width=16 height=16 srcset="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24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1.5x,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32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2x" data-file-width=128 data-file-height=128>이 부분의 본문은 유엔 총회 결의입니다.
총회에는 매년 수많은 결의안이 제출되고 결의로 채택된다. 가장 유명한 유엔 총회 결의는 세계인권선언이다. 결의는 권고적 효력만 있을 뿐 법적 구속력은 없는 것이 원칙이나, 압도적 찬성 또는 만장일치로 결의된 것은 국제관습법이 성립한 것으로 보아 비회원국을 포함한 전 세계 모든 국가에 대해 법적 구속력이 있다고 본다.
UN 특별 총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요청이나 유엔 회원국의 과반수가 요구하면 UN 특별 회의를 소집 할 수 있다.
2016년 UN 특별 총회
2016년 UN 총회에서는 마약에 관한 전쟁과 약물 치료, 재활 및 관련 문제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단일 마약 협약과 같은 국제 마약 조약을 재검토하라는 제안에 대해 2016 년에 특별 세션이 개최 되었다.
기타 특별 총회
1947 년에 개최 된 유엔 총회 특별 세션에서 당시 특별 세션의 회장이었던 오스발도 아란 하 (Osvaldo Aranha)는 오늘날 까지 계속 된 UN 특별 총회 전통에 따라서 국제 포럼의 첫 번째 연사는 항상 브라질 인 발표 하였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상임 이사국 간의 의견 불일치로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는 방안에 합의를 못하면, 총회는 긴급 특별 회기를 소집하고 유엔 총회 결의 377호 에 따라, 기타 특별 총회를 개최하여 UN 차원에서 평화와 안보를 보장 할 권한을 가진다.
대한민국의 역대 총회 참석 현황
- 제3차 (프랑스 파리, 1948년 12월 7일~ 12월 12일) : 장면(단장), 장기영, 김활란, 조병옥(교체단장), 모윤숙,한표욱, 정일형, 전규홍, 김우평, 김준구
- 대한민국의 승인을 얻음 (찬성 48개국, 반대 6개국, 기권 1개국)
- 제4차 (1949년) : 조병옥(단장), 장면
- 제5차 (프랑스 파리, 1950년) : 임병직(단장), 장면, 장택상, 김동성, 임영신
- 제6차 (프랑스 파리, 1951년 11월) : 장면(단장), 임병직, 장택상, 이묘묵, 전규홍, 안연생. 당시, 장면은 건강이 좋지 않았으나 “대한민국을 새로 수립하고 유엔의 승인을 받을 때에도 임자가 활약했고, 유엔 사정에도 다른 사람보다 정통하니, 이번에도 국무 총리 현직을 가진 채 수석 대표로 유엔 총회에 참석하라” :42는 이승만의 간곡한 권유가 있었다. 실제로, 일행이 파리에 도착하게 된 직후 갑자기 대표단장인 장면이 지병인 황달로 자리에 눕게 되어 조병옥을 중심으로 하여 임병직, 전규홍, 이묘묵 등이 회의에 활약하게 되었다. :112 당시 한국 대표들은 사명을 띠고 외국에 나가는 경우에도 하루에 8달러 밖에 받지 못하였는데, 이것으로는 실제 호텔 방값과 아침 식사 한 끼 밖에는 못할 형편이어서 대표들은 각자 사비를 좀 준비해 가기는 했지만 궁색하였고 :112, 손과 발과 입으로만 우방에게 설득, 양해, 동조를 구하였다. :112
- 제7차 (1952년) : 변영태(단장), 임병직, 양유찬, 한표욱, 이재항, 서재식, 전상진
- 제8차(1953년) : 변영태(단장), 양유찬, 임병직, 한표욱, 최덕신, 이수영, 이재항, 한유동,
- 제9차(1954년) : 변영태(단장), 임병직, 양유찬, 최순주, 윤치영, 이재항, 한유동
- 제10차(1955년) : 임병직(단장), 양유찬, 한표욱, 최순주, 김의준,
- 제11차(1956년) : 양유찬(단장), 임병직, 한표욱, 장경근, 김준연, 김활란, 김동조, 윤석헌, 장기붕
- 제12차(1957년) : 양유찬(단장), 임병직, 한표욱, 김법린, 민관식, 김형근, 김활란, 김영주, 윤석헌
- 제13차(1958년) : 양유찬(단장), 최덕신, 한표욱, 최규남, 나용균, 윤치영, 김활란, 이원경, 오중정, 윤석헌, 황호을
- 제14차(1959년) : 조정환(단장), 양유찬, 임병직, 정운갑, 이병하, 김활란
- 제15차(1960년) : 장이욱(단장), 고광림, 임창영, 임병직, 최희송, 박준규, 김재순, 윤재근, 고황경, 최두선, 차균희, 유진오, 이철승, 엄민영
- 제16차(1961년) : 최덕신(단장), 정일권, 이수영, 김준엽, 김동환, 이창희, 임윤영, 윤호근, 임병직
- 제56차(2001년): 의장 한승수
같이 보기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유엔 총회, released under the
CC BY-SA 3.0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