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고속도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미주간방위고속도로망(영어: Dwight D. Eisenhower National System of Interstate and Defense Highways), 간략히 주간고속도로(州間高速道路, 영어: Interstate Highway 인터스테이트 하이웨이[*])는 미국 전역을 연결하는 자동차 전용도로 체계다.
2016년 기준으로 총 길이는 48,181 마일 (77,540 km)로 이는 총연장 기준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에 버금가는 고속도로망이다. 미국의 일반 국도와 함께 연방 교통부 소속으로 각 주 교통부가 대표를 파견하는 AASHTO(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에서 관리한다.
하와이주, 알래스카주, 푸에르토리코에도 주간고속도로 체계가 도입되었는데, 이들 지역의 노선은 번호 앞에 각각 H, A, PR을 붙여 구분한다. 거의 모든 구간이 중앙분리대로 분리된 편도 2차로 이상의 도로이나, 알래스카의 주간고속도로 중 일부는 예외적으로 중앙분리대가 없는 편도 1차로의 것도 있다.
역사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인 1956년 연방 도로법이 제정되어 새로운 도로 체계가 도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급증하는 도로 교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서였는데, 전구간이 중앙분리대로 나뉘고 편도가 최소 2차로인 고속도로를 건설하였다. 일부는 기존 국도를 활용하기도 했으나, 이들도 곧 중앙분리대로 나뉜 편도 2차로 이상의 자동차 전용도로로 개조되었다. 1956년부터 건설이 시작되어 급속히 노선망이 확충되어 2006년 기준 총연장이 75,440 km(46,876 mi)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고속도로 체계이다.
제한 속도
대부분 구간의 제한속도는 도시 지역은 시속 55~65 마일 (88~104km/h), 시골 지역은 일반적으로 시속 65~75 마일 (105~121km/h)이며 서부 텍사스의 10호선, 20호선, 중앙 유타 주의 15호선, 북부 유타 주의 84호선에서는 80 mph (129km/h)의 속도 제한이 있다. 보통 북동부에서는 제한속도를 낮게, 남부나 서부에서는 제한 속도를 높게 규정하고 있다. 일부 구간에서는 비행기를 띄워서 속도 위반을 감시하기도 한다.
도로 형태

건설 계획 당시 주간고속도로를 비상시 비상활주로로 설계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부 산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직선으로 뻗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평야 지역에서 직진할 시 거의 핸들을 틀지 않고 일직선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이 장착된 차량은 발을 브레이크 외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아 몸이 잠든 상태로 주의집중 없이 운전하는 상태인 DWAM(Driving without attention mode) 또는 고속도로 최면(Highway hypnosis)가 되는 경우가 주간고속도로에서는 많이 일어난다.
대도시, 중소도시나 인근 교외 지역의 일반적인 나들목이나, 분기점은 입체교차로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인근에 사람이 거의 없는 시골구간에서는 평면교차로 형태로 있는 곳도 많고, 고속도로 상에 유턴을 할 수 있는 구간도 있다.
부대 설비

주간고속도로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에서 볼 수 있는 체계화된 휴게소(Service Area)는 극히 일부 구간 및 밀집 구간에 한정되어 있다. 보통은 구간마다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는 주유소, 패스트푸드점이 휴게소의 역할을 한다. 주간고속도로에서 Rest Area라고 적혀 있는 곳은 대한민국의 소풍 휴게소, 졸음쉼터에 가까운 형태이며 주차장에 벤치 몇개 정도가 전부이다. 일부 구간은 화장실, 자판기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휴게소와 주유소, 화장실의 배치가 한국과 달리 구간이 매우 길어서 애리조나주나 뉴멕시코주 같은 사람이 없는 구역이 많은 곳에서는 몇 백 마일 단위로 배치 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곳은 마지막으로 나오는 마을 입구에 앞으로 몇 마일 동안 주유소, 화장실 없음이라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노선 번호 체계

- 주간고속도로의 노선 기호(80호선)
- 주간고속도로의 비즈니스 루프(Business routs) 노선 기호(80호선)
주간고속도로는 기존 국도의 번호체계와 완전히 다른 새로운 노선번호체계를 갖추어 관리와 이용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한자리수 또는 두자리수의 노선번호를 부여한 주간선은 본토의 전역을 동서남북으로 나누어, 가로방향(동서방향) 노선에는 짝수 번호를, 세로방향(남북방향) 노선에는 홀수 번호를 붙이고, 북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더 큰 번호를 사용하게 하였다.
세자리수의 노선번호를 부여한 보조간선은 대체로 주요 도시 주변 순환선 및 우회선으로 되어 있다. 지선이 갈라져 나온채로 다른 종점에서 끝나는 노선은 홀수 백단위 숫자가, 기점과 종점이 모두 간선에 붙어있는 노선은 짝수 백단위 숫자를 붙인다. 그래서 다른 주에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같은 번호의 지선이 있는 경우도 있다.
노선 목록
주간선
노선 번호가 0이나 5로 끝나는 도로는 파란색으로 표시하였다.
보조 간선
각주
외부 링크
- (영어) 미국 연방 도로청의 주간고속도로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