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해 1947년 1948년 1949년 - 1950년 - 1951년 1952년 1953년 |
연대 1930년대 1940년대 - 1950년대 - 1960년대 197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사건
- 1월 12일 - 미국의 국무장관 애치슨, 애치슨라인 발표.
- 2월 14일 -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
- 3월 3일 - 난아오 전투 발생
- 3월 10일 - 대한민국 국회에서 유상매입 유상분배 원칙의 농지개혁법안이 통과되었다.
- 4월 21일 - 신성모가 국무총리 서리에 취임하였다.
- 5월 6일 - 프랑스의 로베르 쉬망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계획을 수립.
- 6월 10일 - 토요타 자동차 생산인원 감축 저지를 위한 토요타 자동차 노동조합 총파업.
- 6월 25일
- 한국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산군, 38線 전역에서 남침 개시. 6·25 전쟁 발발.
- 1950년 FIFA 월드컵: 브라질에서 개막.(7월 16일까지 개최함.)
- 이 두 사건은 똑같은 시간(서울 기준시 새벽 4시 정각)에 동시에 발생했다.
- 6월 28일
- 한국전쟁: 조선인민군이 서울을 점령.
- 한강 다리 폭파 사건 약 500-800명 사망
- 7월 20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정부, 대구에 임시수도를 둠.
- 8월 3일
- 8월 9일 - 난펑 전투 발생
- 8월 18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를 대구에서 부산으로 옮기다.
- 8월 28일 - 대한민국 한국은행, 1차 화폐개혁(조선은행권 원:한국은행권 원 1:1) 단행.
- 9월 6일 - 대한민국 국군, 여군 창설.
- 9월 15일 - 한국 전쟁: 06시를 기해 인천 월미도로 인천 상륙 작전을 개시하다.
- 9월 16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 낙동강 전선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에 총반격 시작.
- 9월 28일
- 10월 1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국군 3 사단 26연대, 강원도 양양군서 한국전쟁 발발후 최초로 38선 넘어 북진.
- 10월 4일 - 주한 미군방송(AFKN) 라디오, 서울서 첫 전파 발사.
- 10월 7일
- 10월 9일 - 한국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기관과 단체 등을 평양에서 철수하면서 임시 수도를 강계로 정함.
- 10월 11일 - 중국 인민해방군, 티베트 침공.
- 10월 12일 - 한국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의 평양철수.
- 10월 19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평양을 점령.
- 10월 25일 - 한국전쟁: 중국 참전
- 10월 29일 - 구스타프 6세,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
- 11월 17일 – 텐진 갸초, 15세의 나이로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됨.
- 11월 6일 - 한국전쟁: 맥아더 , 중국 월경(越境) 성명.
- 11월 24일 - "인권 및 기본 자유권 협정"이 유럽 평의회에서 채택.
- 11월 26일 -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회(UNCURK) 일행 12명, 서울 도착.
- 12월 4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맨 마지막으로 평양을 철수하다.
- 12월 10일 - 노벨상: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수상식이 열렸고, 화학상 2명, 문학상 1명, 평화상 1명, 물리학상 1명, 생리학ㆍ의학상 3명, 총 8명이 수상했다.
- 12월 14일 - 한국전쟁: 흥남 철수작전 개시.(~ 24일까지)
탄생
- 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기업가 허경영.
- 1월 2일 - 미국의 클라리넷 연주가 데이비드 시프린.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하.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뮤지컬배우 이승규(탐 리).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대학 총장, 교육인 정영선.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종원.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정호.
- 2월 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명희.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효춘.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종구.
- 2월 25일 -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 2010년)
- 3월 12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하비에르 클레멘테.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용필.
- 3월 24일 - 홍콩 출신의 영화 배우 조사리
- 4월 20일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백호
- 5월 3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조 존스턴.
- 5월 13일
- 5월 20일 - 중국의 반체제 인사, 인권 운동가 웨이징성.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김성환.
- 6월 3일 - 미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 겸 록 베이스 연주가 수지 쿼트로.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현.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기연호.
- 7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동채.
- 7월 9일 -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빅토르 야누코비치.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이완구.
- 7월 21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우발도 피욜.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인성.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임성훈.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수정.
- 8월 11일 - 미국의 프로그래머, 해커 스티브 워즈니악.
- 8월 14일 - 아일랜드의 기업인 더멋 데즈먼드.
- 8월 19일 - 파키스탄의 정치인 무하마드 미안 숨로.
- 8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심수봉.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손정아.
- 9월 18일 - 홍콩 출신의 영화 배우 풍극안 (→ 2016년)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정선.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윤상원.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성우 홍승옥.
- 10월 9일 - 미국의 사회운동가 겸 교사 조디 윌리엄스.
- 10월 13일 - 일본의 배우 이소베 츠토무.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도현
- 10월 21일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대경.
- 10월 31일 - 이라크 출신의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 (→ 2016년)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국회의장 정세균.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석구.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동남.
- 11월 16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엑토르 발레이.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현진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성우 나수란. (→ 2012년)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송일수.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일모.
- 12월 23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비센테 델 보스케.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장명부. (→ 2005년)
사망

조지 오웰

구스타프 5세
- 7월 22일 - 캐나다의 총리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 1874년)
- 11월 3일 - 조선 총독을 지낸 일본의 군인, 정치인 고이��� 구니아키. (← 1880년)
노벨상
- 문학상: 버트런드 러셀.
- 물리학상: 세실 프랭크 파월
- 생리학 및 의학상: 에드워드 캘빈 켄들,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필립 쇼월터 헨치
- 평화상: 랠프 번치
- 화학상: 오토 딜스, 쿠르트 알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