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형 잠수함
독일의 209급 디젤 잠수함은 1960년대 말부터 21세기 초반까지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수출용 잠수함이었다.
1967년 킬의 Howaldtswerke 조선소는 대략 1,000톤급의 잠수함 4척을 그리스 왕립해군에 공급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그 계약은 독일 국방성이 209급이라고 이름붙인 후 첫 계약이었고, 209급은 가장 많이 건조된 서방의 비원자력 잠수함급이 되었다.
1970년대 초기까지, 많은 나라의 해군이 그들이 보유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잠수함을 교체하려고 했다. 1969년 아르헨티나, 1970년 페루와 콜롬비아, 1971년 터키, 1972년 베네수엘라, 1974년 에콰도르에서 주문을 해왔다.
이 잠수함의 처음 설계는 독일 연방방위군 해군의 설계에 기초한 것이었다.
단일 선체 방식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The single hull construction was simply laid out.) 즉, 장교는 잠망경 위치에 서서 함수부의 어뢰관부터 함미부의 엔진실까지 한번에 전체 잠수함을 볼 수 있다. 단일 갑판(single deck)의 아래에 있는 큰 축전지실은 총 배수량의 25% 가량의 무게를 차지한다.
저속 5,000마력 (3.7 MW) 전기모터는 (감속 기어 없이) 직접적으로 축에 부착되어 있고, 배를 20노트(시속 37km)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게 한다.
디자인은 보다 더 다양한 미션에 적합하기 위해서 점점 개선되었다. 처음에는 흡입식 디젤엔진이었던 추진시스템은 현저하게 성능이 향상된 과급 엔진으로 바뀌었다. 캐리비안이나 동남아시아의 바다에서 작전을 포함하는 미션 프로파일을 주문받으면서, 잠수함은 승무원과 전자장비를 위해서 적합한 에어컨 설비의 개발과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으로 잠수함은 최초 설계 당시 1천톤 배수량에서 대략 50%까지 증가하였다. 늘어난 크기와 공간은 항해거리 증대, 선실의 크기, 더 많은 전자장비, 그리고 몇몇 경우에는 잠항심도 증가에 필요했다.
배터리는 저출력과 고출력 사용에서 성능이 향상되었다. 그래서 선체크기와 배수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중항해거리(submerged range:배터리만 사용한 최대 항해거리)와 최대속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209급의 다양한 변형은 배수량으로 구분된다.
한국 해군용 209급 잠수함은 현재 총 9척이 3개 전대로 운용 중이며, 여기에 새로운 214급 잠수함 3척이 추가되어 209형 3척과 214급 1척으로 1개 전대를 구성하게 될 예정이다.
장보고급 잠수함
대한민국은 1993년도부터 9척의 잠수함을 도입하였다.
- 장보고함 (SS-061) - 1993년 취역 독일 HDW
- 이천함 (SS-062) - 1994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최무선함 (SS-063) - 1996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박위함 (SS-065) - 1995년 6월 취역 대우조선해양
- 이종무함 (SS-066) - 1998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림팩 98에 한국 잠수함 최초로 참가하여 총 13척 15만 톤의 함정을 가상 격침
- 한국 잠수함 유일한 피탐지 기록. 가상적 P-3C 오라이온에 5분간 탐지되었다 도주하여 공격받지는 않음.
- 정운함 (SS-067) - 1998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이순신함 (SS-068) - 1999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 나대용함 (SS-069) - 2000년 12월 취역 대우조선해양.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 이억기함 (SS-071) - 2000년 취역 대우조선소.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사용국가
그리스 (209급/1100형 4척, 209급/1200형 4척)
아르헨티나 (209급/1200형 2척)
페루 (209급/1200형 6척)
콜롬비아 (209급/1200형 2척)
튀르키예 (209급/1200형 6척, 209급/1400형 6척)
베네수엘라 (209급/1300형 2척)
에콰도르 (209급/1300형 2척)
인도네시아 (209급/1300형 2척)
칠레 (209급/1400형 2척)
인도 (209급/1500형 4척)
브라질 (209급/1400형 5척)
대한민국 (209급/1200형 9척)
남아프리카 공화국 (209급/1400형 척)
포르투갈
함정
국가별 운용 현황
일반 특성
타입: | 209/1100 | 209/1200 | 209/1400 |
---|---|---|---|
수상 배수량: | 1,105 tons | 1,180 tons | 1,454 tons |
수중 배수량: | 1,230 tons | 1,290 tons | 1,586 tons |
길이: | 54.4 m | 55.9 m | 62 m |
선체 직경: | 6.2 m | 6.2 m | 6.2 m |
엔진 출력: | 1,760 kW | 1,760 kW | 2,800 kW |
수상 속도: | 11 knot (20 km/h) | 11 knot (20 km/h) | 15 knot (28 km/h) |
수 중 속도: | 21.5 knot (40 km/h) | 21.5 knot (40 km/h) | 22 knot (41 km/h) |
어뢰: | 14 | 14 | 14 |
승무원: | 31 | 33 | 30 |
어뢰관: | 8×553mm | ||
수 중 항속거리(배터리): | 20 nm (37 km) at 20 knot (37 km/h), 400 nm (740 km) at 4 knot (7 km/h) | ||
스노클 사용시 항속거리: | 8,000 nm (15,000 km) at 10 knot (19 km/h) | ||
수상 항속거리: | 10,000 nm (19,000 km) at 10 knot (19 km/h) | ||
최대작전시간: | 50 일 | ||
최대 잠수심도: | 500 m |
운용국가
비교되는 잠수함
- 214급 잠수함 - 한국의 수중배수량 1800톤급 디젤 잠수함
- 로미오급 잠수함 - 소련의 수중배수량 1700톤급 디젤 잠수함. 북한 디젤 잠수함 세력의 주축이다.
- 쑹급 잠수함 - 중국의 수중배수량 2200톤급 디젤 잠수함. 로미오급을 개량한 것이다. 중국 디젤 잠수함 세력의 주축이다.
- 오야시오급 잠수함 - 일본의 수중배수량 4000톤급 디젤 잠수함. 일본 디젤 잠수함 세력의 주축이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209형 잠수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